요즘 뉴스 보면 실업급여가 부정수급이 많아졌다고 합니다.
그래서 정부는 제도 개편을 검토 중이며, 최저지급액 하향 조정까지 논의되고 있죠.
하지만 아직 변경 전이니, 2025년 현재 기준으로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 정확한 방법을 지금 알려드립니다.
“조건만 된다면 꼭 신청하세요. 생각보다 간단하고, 혜택도 큽니다.”
1. 실업급여 받을 수 있는 조건은?
- 고용보험 가입 이력
- 퇴직일 기준 최근 18개월 동안 180일 이상 고용보험 가입
- 비자발적 퇴사
- 권고사직, 계약 종료, 회사 폐업 등 회사의 사정으로 퇴사한 경우
- 이직확인서 코드 22, 23, 32번 등 해당 (11번은 자발 퇴사로 일반적으로 불가)
- 일부 자발적 퇴사도 가능
- 아래의 경우는 증빙이 있다면 실업급여 수급 가능
- 임금체불
- 직장 내 괴롭힘
- 출퇴근 3시간 이상
- 질병, 가족돌봄 등
- 아래의 경우는 증빙이 있다면 실업급여 수급 가능
2. 실업급여 수급기간 및 금액 (2025년 기준)
📌 수급 기간
- 최소 120일 ~ 최대 270일
- 기준: 연령(50세 이상/미만), 장애 여부, 고용보험 가입 기간
📌 수급 금액
- 하루 평균임금의 60%
- 최소 64,192원 ~ 최대 66,000원 (1일 기준)
- 한 달 평균 약 192만원~198만원 수준
※ 본인 예상 금액은 '실업급여 계산기'로 간단 확인 가능
3. 실업급여 신청 준비서류
- 이직확인서 (회사 제출, 고용보험 사이트에서 확인 가능)
- 신분증
- 본인 명의 통장사본
- 워크넷 구직 등록 확인증
4. 실업급여 신청방법 (인터넷 기준)
1단계: 이직확인서 확인
- 고용보험 사이트 → ‘이직확인서’ 조회
- 미등록 시 회사에 재요청 (10일 이내 제출 의무, 미제출 시 과태료 있음)
2단계: 워크넷 구직신청
- 채용정보 등록 후 구직인증번호 생성
- 이력서 + 자기소개서 등록 필수
3단계: 수급자격 교육 이수
- 고용보험 → ‘수급자격 신청자 온라인 교육’ 수강 (7일 이내 필수)
- 지각, 빠른 종료 시 인정 안됨! 주의
4단계: 수급자격 신청
- 온라인에서 신청서 제출 후
- 14일 이내 고용센터 방문 상담 예약
- 신분증 + 통장사본 지참
5. 이후 실업급여 수급 절차
절차 | 내용 |
실업 인정일 | 고용센터 출석 및 구직활동 실적 제출 (최소 월 1~2회) |
구직활동 증빙 | 이력서 제출, 면접 참여, 채용박람회 방문, 직업심리검사 등 가능 |
급여 지급 | 실업 인정 후 2~3일 내 계좌 입금 |
6. 주의사항 꼭 체크!
- 퇴사 후 1년 이내 반드시 신청해야 함
- 구직활동 실적 미제출 시 지급 중단
- 취업하게 되면 7일 이내 신고 필수!
(신고 누락 시 부정수급 → 처벌 대상)
마무리
실업급여는 일시적으로 실직한 사람에게 꼭 필요한 안전망입니다.
현재 기준 조건만 충족하면 온라인 신청 + 센터 방문으로 비교적 간단하게 신청 가능합니다.
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건,
‘신청하지 않으면 0원’이지만, 신청하면 최소 월 190만원 이상 지원이 된다는 사실입니다.
퇴사 후 실업 상태라면 꼭 한번 자격 여부 확인해보세요.
구직 중인 지금이, 실업급여 신청의 가장 좋은 타이밍입니다.
청년저축계좌 조건 및 신청방법 총정리
청년의 자산 형성과 자립을 지원하기 위한 대표적인 제도인 청년저축계좌는,근로·사업 활동을 하고 있는 저소득 청년에게 목돈 마련의 기회를 제공하는 정책입니다.매월 10만원씩 저축하면 3년
parkkun.com
내일배움카드 신청자격 및 신청방법
취업 준비생, 재직자, 자영업자까지 누구나 활용할 수 있는 국가 지원 제도 ‘국민내일배움카드’. 직업훈련에 필요한 교육비를 정부가 최대 500만 원까지 지원해주는 이 제도는 미래를 준비하
parkkun.com
2025 청년기본소득 신청방법 지역별 정리
2025년 청년기본소득 신청 자격, 지역별 지급정보, 신청방법까지 한눈에!빠르게 신청 원하시면 아래 버튼에서 확인하세요. 청년기본소득 신청 바로가기👆 2025년에도 어김없이 시행되는 청년
parkkun.com